[한국의 2030 그들은 누구인가] 20대전반, 30대보다 훨씬 보수적

입력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치이념이란 개인 내부에 있는 정치적 인식의 틀을 의미한다. ‘보수-진보’라든지 ‘좌익-우익’이라는 정치이념을 지칭하는 개념들에 의해 각 개인이 어떠한 생각과 행동양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쉽게 가늠해 볼 수 있다. 흔히 진보성향인 사람들은 변화를 희구하며,자유보다는 평등을 지향하고,인권이나 저소득층의 복지문제에 관심이 많다. 반면 보수성향인 사람들은 변화보다는 안정을 희구하며,평등보다는 자유를 지향하고,불평등 문제를 자유경쟁사회의 필연적인 산물로 인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의 조사 결과,놀랍게도 386세대 말미에 속하는 30대 후반세대가 가장 진보적이며,반대로 20대 전반세대가 가장 보수적임이 확인되었다. 연령효과이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보수화경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과는 정반대의 결과가 이번 조사결과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세대효과이론에 의존해야 한다. 세대효과이론에 의하면 각 세대는 그 세대만이 공유하는 사회적경험이 있기 때문에 다른 세대와는 사고방식과 행태가 다를 수밖에 없다. 386세대가 20대 초반에 경험했던 반군부독재투쟁,6월항쟁 등은 그 후배들이 경험할 수 없었던 역사적 경험들이었다.

따라서 386세대는 저항적 민주화세대이며,안정보다는 변화를 추구하는 진보성향을 갖게 되었던 것 같다.

반면 20대 전반은 경제적 풍요속에서 자라난 세대이며,민주주의가 공고화된 시대의 산물이기도 하다. 그들은 공동체의식보다는 개인주의가 발달되어 있으며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화보다는 민주주의 공고화에 대한 믿음이 두텁다.

또한 386세대가 우리 사회를 신뢰하지 않는 반면,20대 전반세대는 우리 사회를 신뢰하며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20대 후반세대와 30대 전반세대는 대체로 중도지향적으로 나타난다. 30대 후반세대와 20대 전반세대와의 정치이념적인 격차는 매우 흥미로운 발견이다. 10년 후면 그들 세대가 한국사회의 주역으로 등장하게 되는데,그 때 그들이 가지고 있는 극명한 정치이념의 차이가 한국 정치사회의 불안요인으로 작동하게 될지 걱정이 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