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교육청 연구정보원 설문조사…변화된 ‘평화·통일교육’ 용어, 모른다 80%

지난 5월 18일~24일 제8회 통일교육주간을 맞아 열린 백두대간 사진전 ‘맥을 잇다’에 참석한 김지철 충남교육감.
지난 5월 18일~24일 제8회 통일교육주간을 맞아 열린 백두대간 사진전 ‘맥을 잇다’에 참석한 김지철 충남교육감. [충남도교육청 제공]

충남지역 초·중·고 교사들이 ‘평화·통일 교육’에 대한 ‘홍보 부족’을 제일 시급한 해결과제로 꼽았다. 또 상급학교로 갈수록 통일교육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13일 충남도교육청 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의 ‘충남 평화·통일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도내 초·중·고 교원 808명을 대상으로 유레카 온라인시스템을 통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앞서 2018년 통일부는 종전의 통일교육지침서를 대신해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발간하며 기존의 ‘안보·통일교육’에서 ‘평화’를 강조하는 ‘평화·통일교육’이라는 용어를 새롭게 사용했다. 

교육부도 그해 11월 28일 같은 맥락의 ‘학교 평화·통일교육 활성화계획’을 발표했으며, 이에 발맞춰 도교육청도 평화통일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아직 자리 잡지 못한 모습이다.

평화·통일교육자료 “모르거나 사용 안함” 75%

‘통일·안보교육’에서 ‘평화·통일교육’으로 변화된 통일교육의 방향을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대답한 비율은 불과 20.54%였으며 약 80%는 잘 알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평화‧통일교육 관련 자료 사용 비율도 상당히 낮았다. 평화‧통일교육 자료 사용 여부에 대한 질문에 ‘모른다’와 ‘알지만 사용 안 한다’라는 응답 비율은 75.25%나 됐다. 

같은 맥락에서 현장 교사들은 도교육청에 가장 시급한 지원책으로 ‘평화‧통일교육 관련 자료 보급 및 홍보’를 꼽았다. 교사들에게 필요한 연수 형태로 ‘국내‧외 현장 방문 체험중심 연수 실시’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그 다음이 ‘평화‧통일 관련 원격 연수’였다.

일선 학교에서 창의적체험활동(이하 창의활동)을 포함해 평화‧통일교육을 일정시간 이상 교육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도교육청의 지침에 대한 이행률도 부진했다. 이는 상급학교로 갈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월랑초등학교 학생들의 호국보훈의 달 작품활동. [충남도교육청 제공]

상급학교 갈수록 통일교육 미흡…‘시간 확보’ 최대 애로

교과 시간 내 통일교육 여부를 묻는 질문에 60.02%만 지도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초등학교가 82.24%인 반면, 중·고등학교는 교과시간에 통일교육을 한 적이 없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넘었다.

창의활동 내 통일교육 지도 경험은 ‘아니오’가 52.10%로 더 미흡했다. 마찬가지로 초등에서는 75.41%가 지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지만 중학교 25.48%, 고등학교 24.59%만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편차가 컸다.

통일교육주간 운영 역시 초등이 87.43%인데 반해 고등학교는 53.01%로 큰 차이를 보였다. 

단위학교의 평화·통일교육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를 묻는 설문에 매우 그렇다(4.83%), 그렇다(30.07%) 등 긍정적인 답변은 약 34%에 그쳤으며, 학교급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인 답변이 높았다. 

“도교육청, 충남 특성화 사례 발굴 및 자료 보급 나서야”

단위학교에서 평화‧통일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는 ‘통일교육 시간 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평화‧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통일교육이 이념논쟁의 대상이 되는 것에 대한 부담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진은 “교육청은 충남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평화·통일교육 사례 개발 및 자료 보급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강사 인력풀 구성, 체험학습처 발굴, 우수교사 간 네트워크 조직,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사례가 반영된 질 높은 교원 연수 제공, 단위학교의 변화된 평화·통일교육 인식제고 및 용어 사용에 대한 안내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